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II. 디지털 배지의 개요 3
1. 자격 증명으로써의 디지털 배지 3
Ⅲ. 디지털 배지와 역량 체계 13
1. 역량 중심 교육의 확산 13
2. 국내의 역량과 디지털 배지 도입 사례 23
3. 해외 디지털 배지와 역량 도입 사례 42
Ⅳ. 디지털 배지 상호운용성 92
1. 디지털 배지 생태계의 기술적 구조 92
2. 오픈배지 데이터 모델 93
3. W3C 검증가능한 자격증명(Verifiable Credential) 데이터 모델 2.0 100
4. 상호운용성을 위한 사례 검토 121
5. 종합 129
V. 디지털 배지 지원 정책 130
1. 소단위 전공과정 운영과 디지털 배지 정책 130
2. 영국, 디지털 배지 위원회 134
3. 호주의 국가 수준 마이크로 자격인증 프레임워크 139
4. Microcred Seeker(Microcredentials Marketplace) 145
5. 호주, 고등교육에서의 마이크로 자격인증 시범 사업 148
V. 결론 152
참고문헌 155
부록
[부록 1] 오픈배지 관련 표준 및 사례 157
[부록 2] TU 더블린 대학의 디지털 배지 신청서 양식 157
더보기
저자소개
✅ 연구책임자: 김홍래(춘천교육대학교)
✅ 공동연구자: 이상민(속초 중앙초등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