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요 약 ·············································································································i
Ⅰ. 서 론 2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3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26
3. 연구 방법 32
Ⅱ.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34
1.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유사 개념 34
2.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와 구성에 관한 최신 동향 37
3.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연구 44
Ⅲ.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48
1. 2019년 국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프레임 48
가.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프레임 구성요소 및 내용영역48
나.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성취기준 49
2. 2019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개선 51
가. 2018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검토 및 수정·보완 51
나.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신규문항 개발 54
다.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예비검사 분석 결과 58
라. 2019 디지털 리터러시 본검사 구성 61
3.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 개선 64
Ⅳ.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실시 개요 및 분석 결과 66
1. 2019 디지털 리터러시 본검사 실시 개요 66
가. 본검사 표집 설계 및 표집 절차 66
나. 본검사 실시 방법 및 절차 72
2.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분석 결과 74
가. 초등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분석 결과 74
나. 중학교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분석 결과 76
3.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기초 분석 결과 77
가. 전체 집단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78
나. 학년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84
다. 성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91
라. 지역규모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97
마. 정보 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105
바.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선도학교 여부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 130
4.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기초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43
Ⅴ. 2018-2019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비교 148
1. 시계열 분석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동등화 148
가.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동등화 결과 149
나. 2019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성취수준 분할점수 151
2. 2018-2019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52
가. 전체 집단에 대한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52
나. 학년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56
다. 성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63
라. 지역규모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68
마. 정보 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 177
3. 2018-2019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분석 결과 요약 및 시 사점 189
Ⅵ.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설문 기초 분석 결과 191
1. 학생 설문 분석 결과 191
가. 가정 내 컴퓨터·디지털 기기 첫 사용 경험 시기 191
나. 학교 내 컴퓨터·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193
다. 학교 밖 장소에서의 컴퓨터·디지털 기기 사용 빈도 195
라. 학교 밖 장소에서의 컴퓨터·디지털 관련 활동 196
마. 학교 밖 장소에서의 컴퓨터·디지털 기기 활용 197
바. ICT 흥미와 도구적 동기 198
사. ICT 활용 효능감 200
2. 교사 설문 분석 결과 202
가. 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202
나. 중학교 표집학교의 정보교과 개설현황 204
다. 교사의 수업 중 ICT 활용 필요성에 대한 인식 206
라. 교사의 디지털 교육 관련 전문성 기여 활동 경험 207
마. 교사의 디지털 교육 관련 연수 경험 208
바. 주당 교사의 디지털 관련 교육 횟수 210
사. 교사의 ICT 활용 필요성에 대한 인식 212
아. 교사의 ICT 활용 효능감 214
자. 교사의 ICT 활용 정도 215
차.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참여학급을 대상으로 한 교사의 ICT 활용 216
카. 학교 내 ICT 환경 218
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사항 219
3. 2019 디지털 리터러시 설문 기초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221
Ⅶ. 논의 및 결론 224
1. 논의 224
2. 결론 및 제언 22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