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 방법
Ⅱ.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1. 디지털 리터러시 정의와 구성에 관한 최신 동향
2. 디지털 리터러시 측정 관련 국내·외 연구 분석
3.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의 시사점
Ⅲ.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도구 개발
1.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프레임
2.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3.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시스템 개선
Ⅳ.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결과
1.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본검사 실시 개요
2.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 문항 분석 결과
3.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기초 분석 결과
4.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기초분석 결과 요약
Ⅴ.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설문 기초 분석 결과
1. 학생 설문 분석 결과
2. 교사 설문 분석 결과
3.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설문 기초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Ⅵ. 2020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심층분석 결과
1.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예측을 위한 주요변인 탐색
2. 2020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심층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디지털 리터러시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
참고 문헌
더보기
저자소개
연구 책임자
정진명(한국교육학술정보원)
공동 연구진
이현숙(건국대학교)
김수환(총신대학교)
이운지(대전과학기술대학교)
류기곤(고려대학교)
김경아(전북대학교)
조규복(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구찬동(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 보조원
나우열(건국대학교)
조영진(건국대학교)
이지용(건국대학교)
최기태(전북대학교)
황슬아(전북대학교)
연구에 도움 주신 분들
장용준 교사(인천단봉초등학교)
전수진 교수(호서대학교)
최명진 교사(양평중학교)
최상현 교사(김포신풍초등학교)
최정원 교사(만월중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