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방법
4. 기대효과
5. 연구의 한계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 학습 환경
2.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학습 환경
Ⅲ. 연구 결과
1. 문헌 분석을 통한 스마트 학습 환경의 초기 구성 요소
2. 해외 스마트 학습 환경 정책 분석
3. 국내외 스마트 학습 환경 사례 분석
4. 스마트 학습 환경 구성요소와 프레임워크
5. 스마트 학습 환경 프레임워크의 타당성
6. 스마트학교 모델
Ⅳ. 정책적 제언
1. 스마트 인프라 환경 조성
2. 자율적인 에듀테크 활용 환경 조성
3. 학습 데이터 활용 환경 조성
4. 블렌디드 및 하이브리드 학습 운영 환경 조성
참고문헌
더보기
저자소개
연구책임자
임철일(서울대학교)
공동연구자
계보경(한국교육학술정보원)
최미애(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조원
이웅기(서울대학교)
이재홍(서울대학교)
배유진(서울대학교)
송유경(서울대학교)
정혜원(서울대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