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를 통한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수험생 전형비 절약에 기여
- 대입전형비용 학생/학부모 약 1,573억원, 대학 360억원 절감 효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박혜자, 이하 KERIS)은 교육부 및 17개 시도교육청과 함께 2020학년도 대입전형원서 접수 시 필요한 수험생 학교생활기록부 전산자료를 대학에 온라인으로 제공 완료하였다.
○ 이는 고등학교와 대학의 대입전형업무 부담을 줄이고 지원서류 제출에 대한 수험생의 불편 해결 및 학생부 위·변조 방지를 목적으로 2005학년도 대입 정시모집부터 나이스 학교생활기록부 전산자료를 제공하면서부터 시작됐다. 2015학년도 정시모집부터는 검정고시 합격 정보에 대한 전산자료를 추가 제공하고 있다.
□ 한편, KERIS에서 2020학년도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실적을 분석한 결과, 대입전형원서 접수를 위한 사회적 비용을 총 1,933억원 가량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험생의 각 대학 전형자료 제출을 위한 교통비 등의 경우 약 1,573억원, 대학의 전형자료 접수 및 원본대조를 위한 인건비(2019년 최저시급 적용)의 경우 약 360억원 등의 비용절감 효과를 보였다.
○ 이번 2020학년도 대입전형을 위해 전국 시도교육청에서는 2019학년도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부터 2014학년도 고등학교 졸업생까지 총 2,577개 고등학교 6개 학년도 약 696만 명의 수험생 대입전형자료를 나이스에 생성하였으며,
○ 수시모집 기간 중에는 370개 대학에 약 374만 건을, 정시모집 기간 중에는 341개 대학에 약 53만 건의 자료를 나이스 대입전형 시스템으로 제공(검정고시 제외)하였다.
□ KERIS 박혜자 원장은 “학교생활기록부 대입전형자료의 투명성을 높이고, 대입전형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교육부, 시도교육청과 함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학교현장의 업무경감, 수험생과 학부모의 편의를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