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디지털교과서 정책 수립 지원 및 거버넌스 조성 ※ AI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 및 서비스 모델·프로토타입 개발·보급(초중등 수학·영어·정보 6종)
디지털 교육혁신을 선도하는 교사그룹 ‘T.O.U.C.H. 교사단’ 양성 및 활동 지원 ※ 공공-민간연계 교원 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과정(5종) 운영, 터치교사단 양성(395명)
‘에듀테크 진흥방안’ 수립 등 교육현장 및 에듀테크 산업 성장 지원 강화 ※ 교육현장 활용/산업 성장/지원체계 조성/기업 해외진출 등 4개 분야 33개 과제 도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시범교육청 및 선도학교 지원 ※ 디지털 선도학교 온․오프라인 통합지원 체계 마련 및 현장지원단 구성․운영
02.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 실현을 위한 디지털 교육·학술 플랫폼 구현
원활한 원격수업 및 온‧오프라인 연계 수업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및 실감형콘텐츠 보급 확대, 학습커뮤니티 위두랑 기능 강화 ※ 초·중·고 디지털교과서/실감형 콘텐츠 제공 확대: ’22년194종/325종 → ’23년 270종/339종
AI 초등수학수업 지원시스템(똑똑! 수학탐험대) 서비스 대상 확대 ※ 서비스 대상 확대(초1∼4학년 → 초1∼6학년)를 위한 플랫폼 확장, 수업사례집 및 활용가이드 개발
2022 개정 교육과정 등 국가 교육과정ㆍ정책정보 통합지원 서비스 운영 강화 ※ ‘잇다’ 올해의 채널 운영(50개, 2,500건) 및 다량의 콘텐츠 확보(약 10만건)를 통한 서비스 활성화
디지털 기반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고도화 및 전국대학 학술정보 공유망 확대 ※ AI 기반 대학별 연구성과 분석 및 예측 서비스(UREKA) 구축·보급(’23.10.) ※ 공공·민간 협업기반 연구자정보 수집을 통한 저자식별체계 구축(네이버, 클래리베이트)
학습자 친화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KOCW 앱 개통(’23.3.) 및 KOCWC* 개편(’23.9.) * 전문대학 특성에 맞게 KOCW를 재분류·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만족도↑: ’22년 75.4점 → ’23년 77.6점)
신기술 활용 교육소외계층 교육·학술연구 지원 확대 ※ 학습지원대상학생 학업도움을 위한 맞춤형 진단-보정서비스 확대(초1∼고1 → 초1∼고2) ※ 다문화ㆍ중도입국 학생 적응 지원을 위한 AI 맞춤형 한국어교육 서비스 구축 ※ 음성논문 구축 확대 및 이용교육 수어 제공 등 취약계층서비스 확대(’22년 115만 → ’23년 123만)
03. 수요자 중심 교육행·재정서비스 혁신 및 대국민 서비스 안정화
4세대 나이스 신규 서비스 도입을 통한 교육현장 활용도 및 대국민 편의 제고 ※ 나이스플러스 신규 도입(’23.6.21.), 학부모서비스 개편 적용(’23.7.20.)으로 학교 교육과정 운영 지원 강화 및 정보접근 편의 제고 등
시스템 운영체계 개선 및 인프라 유지관리 활동 강화를 통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가동률 100% 무중단 운영 ※ 정기점검(4,326회 점검), 장애 신속 대응 등을 통해 전국 나이스 인프라 연속성 강화 ※ 최고 수준의 나이스 시스템 보안 유지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8년 연속 획득
국제표준 품질 수준의 K-에듀파인 안정적 운영 및 고도화로 공공기록물 전자적 생산·관리·이관, 원문공개 지원 등 지방교육행정 업무 효율화 ※ 사용자 편의성·시스템 안정성 향상(전년 동기대비 사용자요청 18%↓, 평균속도 89% 개선 등)
사립유치원 K-에듀파인 전자금융 서비스의 신용카드 연계를 통한 학부모 편의성 제고 등 사용자 맞춤형 밀착 지원 강화 ※ 기존 전자수납(EFT, CMS)에 신용카드 자동납부 도입을 통해 전자수납 활용 확대
교육기관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 정보보호체계 확대 적용 및 차세대 사이버 위협 탐지체계 확산 ※ AI기반 사이버위협 자동판별・탐지 체계 확대로 침해사고예방 건수 증가(전년대비 약 34%↑)
04. 지속가능 경영혁신체계 고도화
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전략체계 고도화 및 혁신계획 이행완료 ※ 경영목표 개선·고도화 및 경영효율화 3대 목표 이행완료(예산절감, 기능조정 등)
예산관리 제도개선 및 성과관리 강화로 교육부 재정사업자율평가 ‘우수’ 등급 달성
기관 최초 「공정채용·가족친화·인권경영」 3개 분야 동시 인증 획득으로 공정경영 문화 확산
윤리경영 및 실효적 내부 견제시스템 운영으로 청렴문화 조성 ※ 부패방지시책평가 5년 연속 '우수', 자체감사활동 심사평가 3년 연속 'A'
사회적 책임이행계획 수립·전략 구체화를 통한 동반성장평가 2년 연속 ‘양호’ 획득(중소벤처기업부)
ESG기반 사회공헌 활동으로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인정기관 선정(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협의회)